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가족관계 호칭 및 이력서의 한자, 관계 : 남편, 아내, 아들, 딸 한자

by 해피원데이 2025. 3. 16.
728x90

 

1. 주요 가족 관계 한자

 

이력서에 표기를 할 경우에는 아버지의 경우 부, 어머니의 경우 모, 남동생을 제, 여동생을 매, 이런 식으로 표기를 합니다.

 

父 부 (아버지 부) 아버지

母 모 (어머니 모) 어머니

子 자 (아들) 아들

女 여 (딸) 딸

兄 형 (맏 형) 형, 오빠 (남자의 형제)

弟 제 (아우 제) 남동생

姉 자 (손윗누이 자) 누나, 언니 (여자의 손윗사람)

妹 매 (누이 매) 여동생

祖 조 (할아버지 조) 할아버지, 조상

孫 손 (손자 손) 손자, 손녀

夫 부 (지아비 부) 남편

妻 처 (아내 처) 아내

媳 식 (며느리 식) 며느리

舅 구 (시아버지 구) 시아버지

婆 파 (시어미 파) 시어머니

孤 고 (외로운 고) 부모를 잃은 아이 (고아)

 

 

2. 복합어로 사용하는 한자 표현

 

祖父母 (조부모) 할아버지와 할머니

兄弟 (형제) 형과 동생 (남자 형제)

姉妹 (자매) 언니와 여동생 (여자 형제)

父母 (부모) 아버지와 어머니

夫婦 (부부) 남편과 아내

子孫 (자손) 아들과 손자, 즉 후손

 

728x90

 

3. 한자로 표현할 때의 특징

 

상하 관계 표현: 祖(조)는 조상, 父(부)는 아버지, 子(자)는 자식처럼 상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남녀 구분: 兄(형)과 弟(제), 姉(자)와 妹(매)처럼 성별에 따라 표현이 다릅니다.

 

가족의 크기와 계보를 표현: 家族(가족), 親族(친족), 血族(혈족) 등으로 넓은 범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4. 직계가족 가족관계 호칭 정리

 

 

5. 조부모, 손자, 손녀 호칭

 

 

 

6. 배우자의 가족

 

 

7. 형제자매의 배우자, 사촌 

 

 

한국어 호칭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친가(부모 쪽)와 외가(어머니 쪽) 호칭도 다르게 쓰입니다.

예의와 존경의 의미를 담아 호칭에 -님을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728x90